엔화값 900원선 붕괴... 8년 만에 800원대로 진입
원화 대비 엔화값 900원 선이 무너지며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5일 하나은행이 고시한 원-엔 재정환율은 오후 3시 반 기준 100엔당 897.29원 수준이었다. 원-엔 재정환율(오후 3시 반 기준)이 800원대를 기록한 건 2015년 6월 25일(897.91원) 이후 8년 만이다. 이날 900.92원에서 시작한 환율은 900원대를 전후해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800원대로 떨어졌다.
엔화는 올 들어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달러당 엔화값은 지난해 151엔대 후반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145엔 안팎을 오가고 있다.
엔화값이 급격히 떨어진 건 일본은행이 초저금리 정책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등 주요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동안 일본은 기준금리를 ㅡ0.1%로 정하고, 국채 수익률을 0%대에서 관리하는 ‘돈 풀기’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올해 하반기(7~12월)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며 원화가 상대적 강세를 보인 것도 엔화 가치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원-달러 환율도 지난달 22일 이후 2주 만에 1200원대로 진입했다.
일본의 ‘역대급 엔저’ 현상에 국내 기업들이 수출에 타격을 입을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전통적으로 엔저 현상은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 국내 주력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경제에 타격을 줬다.
다만 이 같은 엔저 현상이 오래 지속되진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미국발 금리 인상 시작 후 엔화 약세가 상대적으로 더 심할 뿐이지 장기적으로는 원화, 위안화 등 주요 아시아 수출국 통화도 강달러 속 동반 약세를 나타낼 것이란 분석이다.
라면값 상승률 또 '최고치' 갈아치웠다, 인하 체감은 언제쯤
- 6월 라면 물가상승률 13.4%... 금융위기 이후 최고
여섯 식구 살림을 꾸리는 50대 주부 정 아무개 씨는 대형마트에서 장을 볼 때마다 물건을 고르는 손길이 움츠러든다. 물가 상승 폭이 둔화했다지만, 여전히 몇 가지만 골라도 10만 원을 훌쩍 넘어서는 탓이다. 정 씨는 “최근 뉴스에선 라면값이 내렸다고 떠들썩했는데, 우리 식구가 주로 먹는 제품은 가격이 똑같다. 솔직히 (가격 인하를) 체감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라면 물가 상승 폭이 다른 품목에 견줘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 물가 상승률과 전체 물가 상승률 간 격차는 10%포인트 이상 벌어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격차가 가장 컸다. 최근 라면 업계가 잇달아 가격 인하에 나섰지만, 인하 품목과 인하율이 낮아 이달에도 가격 상승률 둔화 폭이 크지는 않을 전망이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6월 라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23.95로 지난해 같은 달에 견줘 13.4%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월의 14.3%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5월 13.1%보다 되레 상승률이 커지면서 한 달 만에 최고 기록을 갈아치운 셈이다.
라면 물가 상승률은 전체 품목의 상승률과 견줘서도 차이가 컸다. 지난달 전체 물가 상승률은 2.7%로 라면과의 격차가 10.7%포인트에 달했다. 이는 2009년 11월(11.0% 포인트) 이후 14년 5개월 만에 최대다. 전체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라면만은 오히려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이다.
라면 물가 상승률이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지난달 국무총리와 부총리, 농림축산식품부까지 나서 “국제 밀 가격 하락에 맞춰 라면값을 인하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이에 농심은 이달 1일부터 신라면 출고가를 4.5% 내렸고, 삼양식품 역시 삼양라면, 짜짜로니 등 12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4.7% 인하했다.
오뚝이도 스낵면, 참깨라면 등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0% 내렸으며, 팔도도 일품해물라면, 왕뚜껑봉지면 등 11개 제품 소비자 가격을 평균 5.1%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달 들어 라면 물가 상승률이 다소 둔화세를 보이더라도 하락 폭은 그다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대부분의 업체가 가장 많이 팔리는 주력 제품 가격을 인하 품목에서 제외한 탓이다. 농심은 신라면은 내렸지만, 안성탕면, 짜파게티, 너구리 등 가격은 유지했으며, 삼양식품도 불닭볶음면을 인하 품목에서 제외했다. 오뚝이와 팔도도 진라면과 비빔면 등의 가격은 내리지 않았다.
이에 시민단체도 라면 업계의 ‘꼼수 인하’를 지적하고 나섰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앞서 보도자료를 내어 “주요 라면 회사가 지난해 가격을 10~11% 이상 인상했음에도 내릴 때는 4~5%에 그쳤다”며 “지난해 인상률과 제품 종류에 걸맞은 가격 인하를 해 소비자 부담을 확실히 덜어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부산은행 시중은행 전환 발목... 말로만 '금융개혁'
- 금융위, 은행권 경영 개선안 발표
- 지방은행->시중은행 허용 추진
- 대기업 4% 이상 주주 은행은 제외
- DGB만 적용돼 "올해 전환" 예고
- 한 곳 혜택 집중, 비판 여론 고조
정부가 5대 시중은행의 과점체제 해소를 위해 31년 만에 새 시중은행 탄생을 예고한 가운데 지방은행 중에서는 DGB금융의 대구은행만이 혜택을 누리게 됐다. 은행권의 ‘돈 잔치’ 원인을 과점체제로 판단한 금융당국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BNK부산은행 등은 ‘은산분리’에 발목이 잡혔다. 6개 지방은행 중 단 한 곳만 시중은행 전환의 혜택을 누리게 된 것을 두고 금융권과 지역에서는 벌써부터 ‘형평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5일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은행업계에 신규 플레이어, 즉 ‘메기’를 풀어 경쟁을 촉진하는 것이다.
금융위 김소영 부위원장은 “은행 산업을 언제든 경쟁자가 진입할 수 있는 경합시장으로 바꿔 나갈 것”이라며 “실제 경쟁자가 진입하지 않더라도 잠재적 경쟁자를 인식하게 될 경우 경쟁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선 단시일에 기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적극 허용하기로 했다. 대구은행은 이미 전국적 지점망을 갖춘 시중은행으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금융당국에 밝힌 상태다.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면 전국 단위 영업을 할 수 있고, 낮은 금리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 대구은행이 3분기 내에 신청할 경우 큰 결격사유가 없으면 올해 안에 시중은행 인가를 받을 전망이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면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0여 년 만에 새 시중은행이 등장하게 된다.
하지만 대구은행보다 규모가 큰 부산은행이나 다른 지방은행은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됐다. 은산분리 원칙에 따라 산업자본 지분이 4%를 넘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부산은행 지분 100%를 가진 BNK금융의 경우 1분기 롯데 관계사 지분이 11.14%에 달한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과점체제 해소를 위한 금융당국의 의지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 김주현 위원장이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과거의 은산분리가 현 상황에 맞는지 개선할 필요성을 검토할 시점이다. 필요하다면 기본원칙도 일부 보완할 수 있다”고 했지만 이번 대책을 보면 이를 검토한 적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과점체제 해소의 핵심 열쇠로 생각한 것 같지만, 좀 더 극적인 효과를 위해선 다른 지방은행에게도 길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 역시 “은산분리의 경우 법 개정이 당장 어렵다면 하위 규정을 먼저 손보면 된다. 사실상 의지가 없었다는 생각이 든다”며 “지방은행이 이번 과점체제 해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았는데 혜택이 한곳에 집중된 것은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라고 꼬집었다.
'경제,법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7월 17일, 오늘의 경제뉴스. (0) | 2023.07.17 |
---|---|
23년 7월 11일, 오늘의 경제뉴스. (0) | 2023.07.11 |
23년 7월 2일, 오늘의 경제뉴스. (2) | 2023.07.02 |
23년 6월 30일, 오늘의 경제뉴스. (2) | 2023.06.30 |
23년 6월 29일, 오늘의 경제뉴스. (2)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