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1월 30일, 오늘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정보

24년 1월 30일, 오늘의 뉴스

by 만물보부상 2024. 1. 30.
반응형

실적 꽃 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반도체의 봄'은 언제?

  • 삼성전자 31일 컨콜에서 작년 4분기 사업부별 실적 발표
  • 반도체 2조 안팎 적자 예상. 파운드리 실적 영향 커
  • 1분기 흑자전환 가능성 의문. 2분기 2조 규모 흑자 전망

SK 하이닉스 사옥.

반응형

SK하이닉스가 지난해 4분기 1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한 가운데 삼성전자 반도체의 적자 탈출 시점에 관심이 쏠린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1일 컨퍼런스콜을 열고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지난 9일 공개한 잠정실적은 영업이익 2조 8천억 원으로 사업부별 성적표는 밝히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설루션) 부문은 1조~2조 원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산한다. DS부문은 지난해 △1분기 –4조 5800억 원 △2분기 –4조 3600억 원 △3분기 –3조 7500억 원 등 '조 단위' 영업손실을 지속했다.

예상이 현실화하면, 삼성전자 반도체는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한다. SK하이닉스가 AI(인공지능) 반도체의 필수품인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확대에 힘입어 적자 탈출에 성공한 것과 대비된다.

실적 자체는 기대치를 밑돌지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삼성전자 역시 글로벌 HBM 시장에서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D램 부문의 흑자전환은 기정사실로 보고 있다. 그동안 어려움을 겪던 낸드 부문의 적자도 의미 있는 수준의 감소를 달성했다고 예상한다. SK하이닉스와 달리 삼성전자 반도체의 한 축을 담당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의 실적 회복이 더뎠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미래에셋증권 김영건 연구원은 "파운드리는 무선사 플래그쉽향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출하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고, 8인치 팹(Fab·생산공장) 가동률 회복이 더딘 요인 등으로 실적 개선이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설명했다.

관건은 흑자전환 시점이다. 삼성전자의 반도체가 살아나야 2021~2022년 슈퍼사이클 당시 분기당 10조 원 넘는 영업이익의 영광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삼성전자 반도체의 흑자전환 가능성에 대한 시장 반응은 엇갈린다.

SK하이닉스에 HBM 시장의 선두 자리를 내줬고, 파운드리 부문에서 실적을 회복할 뚜렷한 모멘텀이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적자 규모를 줄이는 데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반대로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 회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흑자전환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있다.

다만 2분기 흑자전환 전망에는 이견이 없다. AI로 인한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이미 시작됐다는 판단에서다. 실적 규모도 대체로 2조 원 안팎을 예상한다.

감산의 정상화 시점도 관심이다.

지난해 말부터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감산이 업황 회복의 마중물이 됐다. 하지만 업황이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생산량의 원상복구는 불가피한 수순이다. 다만 감산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업계의 경쟁이 격화하면 회복하던 업황이 다시 다운턴에 진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SK하이닉스 역시 지난 25일 컨퍼런스콜에서 이에 대해 "회사도 우려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물론 HBM 중심의 성장 모멘텀이 계속되면서 공급과잉 우려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일축했다.


"출근길 마스크 필수" 일교차 크고, 미세먼지 기승

서울 시청역 앞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고 있는 전광판.

오늘은 전국이 대체로 맑겠다. 다만 서해안과 제주도에는 구름이 많겠다. 울릉도와 독도에는 눈 또는 비가 오겠다.

29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10~-1도, 낮 최고기온은 3~9도로 예보됐다. 전날과 체감온도가 비슷하겠다.

주요 도시 예상 최저기온은 ▲서울 -4도 ▲인천 -4도 ▲춘천 -7도 ▲강릉 -3도 ▲대전 -5도 ▲대구 -3도 ▲전주 -3도 ▲광주 -2도 ▲부산 -1도 ▲제주 3도 등이다.

예상 최고 기온은 ▲서울 4도 ▲인천 3도 ▲춘천 5도 ▲강릉 7도 ▲대전 5도 ▲대구 7도 ▲전주 5도 ▲광주 6도 ▲부산 9도 ▲제주 9도 등이다.

울릉도와 독도에는 이날 오전까지 1㎝ 안팎 눈 또는 5㎜ 미만의 비가 내리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수도권·강원 영서·세종·충북·충남은 ‘나쁨’, 그 밖의 권역은 ‘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대전·광주·전북·대구·경북은 늦은 밤 일시적으로 ‘나쁨’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미세먼지는 국내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대기에 축적된 가운데 국외에서 유입된 미세먼지가 더해지며 농도가 짙어지겠다.

강원동해안과 경상권해안에는 강한 너울이 유입되면서 높은 물결이 갯바위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을 수 있겠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0.5~1.5m, 서해 앞바다에서 0.5m, 남해 앞바다에서 0.5~1.5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의 파고는 동해·남해 0.5~2.0m, 서해 0.5~1.0m로 예측된다.


이사 안 가는 사람들. 서울 아파트 매매, 전세, 월세 '트리플 감소'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매매든 전세 월세든 매물 자체가 씨가 말랐어요. 전셋값이 폭등을 했으면 차라리 집을 사거나 더 싼 전셋집을 찾을 텐데, 지금은 금리며 이사비 생각하면 나가는 게 더 부담인 상황인 거죠.” (마포구 A공인중개사)

윤석열 정부가 ‘1·10 공급대책’을 통해 부동산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지만 부동산 업계에선 ‘거래 절벽’이 이어질 것이라는 회의감이 감지된다. 매매는 물론 전세·월세 거래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러한 현상을 부동산 장기 침체의 시그널로 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아파트 매매거래는 987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월(1413건)보다 30%가 줄었다. 매매거래 신고 기간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정확한 거래량은 2월 말일에 확정된다. 다만 최근 부동산 경기가 침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고려하면 이달 거래량은 평년보다 낮을 확률이 높다. 지난해 12월 매매거래량(1811건)은 올해 1월(1413건)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매매뿐 아니라 전세 거래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29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거래는 7248건으로 집계됐다. 전세 거래도 아직 신고 기한이 남았으나 지난해 1월(1만 2282건) 수준을 넘기엔 역부족일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거래량은 지난해 3월 1만 6219건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월세거래량도 8117건으로 전년 동월(1만 2687건) 대비 36% 감소했다.

거래절벽은 아파트 뿐 아니라 비아파트 시장에서도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서울 빌라(다세대·연립) 매매 거래량은 2만 2398건으로, 2022년 같은 기간(3만 2865건)보다 31.8% 감소했다. 현 추세대로라면 2006년 해당 통계가 집계된 후 역대 최저였던 2012년 2만 8771건을 밑돌 가능성이 높다.

매매와 전세 계약이 줄어든 배경엔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이 크다. 세부적으로 매매의 경우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지난해 9월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6~9억원)공급이 중단되면서 매수심리가 얼어붙었다. 전세의 경우 ‘임대차 3 법’ 제정 이후 2+2년 갱신 계약이 보편화된 데다, 갭투자가 자취를 감추면서 세입자를 급히 구해야 하는 수요도 줄었다.

신규 입주 물량 감소도 거래 절벽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직방에 따르면 올해 2월은 43개 단지, 총 2만2543가구가 입주 예정이다. 전월(3만 3089 가구) 대비해서는 32%, 전년 동월(2만 7701 가구) 대비해서는 19%가 감소했다. 2016년 이후 8년간 2월 평균 아파트 입주규모가 2만 7337 가구인 것에 비교하면 평년보다 저조한 실적에 속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부동산 장기 침체의 시그널이라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서울 신규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서 사람들이 집을 옮길만한 이벤트 자체가 사라졌다”며 “여기에 총체적인 내수경기 침체까지 겹치며 사람들의 이주 수요가 순환되지 않는 ‘올스톱’ 상황이 왔다”고 말했다.

김선주 경기대 부동산자산관리학과 교수도 “전세거래가 되지 않으면 전세가격이 떨어지고, 전세가격이 떨어지면 매매가격의 하락이 가속화될 수 있다”며 “금리가 낮아지면서 거래가 회복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정반대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뉴스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2월 6일, 오늘의 뉴스  (30) 2024.02.06
24년 1월 31일, 오늘의 뉴스  (40) 2024.01.31
24년 1월 27일, 오늘의 뉴스  (41) 2024.01.27
24년 1월 26일, 오늘의 뉴스  (3) 2024.01.26
24년 1월 25일, 오늘의 뉴스  (40) 2024.01.25